BOARD 2024 대한민국 MRO 국제컨퍼런스 (KMROcon 2024)

    소형 드론 국산화의 걸림돌 ‘시장 부재’…“소모처 꼭 필요”
    • 작성일2025/05/16 10:30
    • 조회 23

    2025. 05. 15. [뉴스워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소형 자폭드론이 전장의 판도를 바꾸는 무기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드론을 판매할 수 있는 ‘소모처’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방 안보자산으로서의 중요성이 커졌지만, 판매할 ‘수요처’가 없어 기업들의 국산화가 지지부진하다는 것이다. 대형 방산 업체가 소형 공격드론 개발에 적극적이지 않은 이유도 이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15일 업계 관계자는 “전투기든 드론이든 어떤 것이 됐든 군 수요 같은 소모처가 있어야만 개발을 할 수 있다”며 “현재 중국 업체라든지 여러 업체들이 시장에 진출해 있는 상황이라 시장상황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소형 자폭드론의 효용은 러-우 전쟁에서 입증됐다. 우크라이나는 상용 드론에 소형 폭탄을 탑재해 러시아 군을 공격하며 기존 고가의 미사일보다 낮은 비용으로 높은 타격 효과를 거둔 바 있다. 전쟁 양상을 뒤바꾼 이 전술은 현재 여러 나라들이 자국 내 드론 전력을 육성하는 계기가 됐다.

    특히 전세계 소형 드론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는 중국이 지난해 군사용 제품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면서, 유럽 등 서방 국가들도 자국 드론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기술력은 갖췄지만, 시장 개척이 어려워 소형 공격 드론 개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국내 대형 방산업체들은 무인정찰기나 중대형 드론, 드론 방어체계 등 고부가가치 기술에는 뛰어난 제품들을 보유하고 있지만, 유독 소형 자폭드론에는 손을 놓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한 군사 칼럼니스트는 “수출이든 군 수요든 매출처가 없으면 기업 입장에서는 개발에 나설 이유가 없다”고 했다.

    이에 따라 소형 드론 개발을 담당할 주체는 자연스레 중소 방산업체로 넘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들 기업 역시 현실적으로 자금여력이 부족해 제대로 된 개발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국내에 소형 드론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존재하지만, '국산화'라는 미션이 주어지면서 이야기는 달라지고 있다. 여지껏 우리나라는 소형 드론의 소부장을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해 왔기 때문이다.

    국산화를 하기 위해 공장을 짓고, 인력, 시험 등 많은 돈을 들여야 하지만 정작 ‘소모처’가 없어 '국산화'라는 요인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른다는 지적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중국산 소부장이 어쩔 수 없는 선택인 셈이다.

    하지만, 중국산 소부장은 북한 혹은 중국 우호국과 전쟁시  제한 될 수 있기에 국산화는 절실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업계에서는 전쟁 발발 시 중국이 소부장 수출을 차단하면 대응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미리 대비를 해야한다는 의견이다.

    항공안전기술원(KIAST)이 지난해 발표한 ‘2024 드론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국내 드론 관련 수출입 현황에서 최대이륙중량 250g 초과 7kg 이하 드론의 수입액은 373억 원으로, 수출액(72억 원)의 5배를 넘었다. 부품 역시 수입액이 471억 원으로, 수출(43억 원)보다 크게 앞섰다. 수입국도 81.1%가 아시아로 북미(11.5%)보다 훨씬 높았다.

    부품별 국산화율을 보면 동체(72.6%)와 통신모듈(50.3%)을 제외한 나머지는 대부분 30% 수준에 그쳤다. 이처럼 드론의 핵심 부품인 모터, 배터리, 비행제어장치 등의 국산화율이 낮다는 점은 현재 K-드론 시장의 구조적인 한계로 지목된다.

    정부와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드론 국산화를 위한 기술 클러스터 조성에 나섰지만, 아직까지 뚜렷하지 않다는 이야기도 있다. 한 군사 칼럼니스트는 “결국은 군 수요라는 명확한 ‘소모처’가 있어야 민간 기업들도 본격적으로 개발에 나설 수 있다”며 “전쟁 발발 시 중국이 소부장 수출을 차단하면 우리는 대응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산화는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이태윤 기자 -
     

    출처 : https://www.newswatch.kr/news/articleView.html?idxno=71601